탄소중립이란?
탄소중립은 대기 중 온실가스 농도가 인간 활동에 의해 더 증가되지 않도록 순배출량이 0이 되도록 하는 것으로 '넷제로(Net-Zero)'라고도 부른다. 특정 기간에 인간 활동에 의한 온실가스 배출량이 전 지구적 흡수량과 균형을 이룰때 탄소중립이 달성된다
기후위기 대응 동참
이상기후 발생, 파리협정 채택(’15.12), 주요국 탄소중립·NDC 상향 발표* 등으로 국제사회 노력 동참 필요
(독일) ’90년 比 55%→65%(’21.5)
(미국) ’05년 比 ’25년까지 26~28%→’30년까지 50~52%
(영국) ’90년 比 ’35년까지 78%(기존 ’30년까지 68% 목표 병행)
(일본) ’13년 比 26%→46%
국제 경제질서·무역환경 급변
EU·미국 탄소국경조정제도 도입계획 발표, 글로벌 기업의 RE100 선언, ESG 투자 확산 등에 선제적 대응 필요
애플, BMW, 구글, 월마트 등 330여 글로벌 기업들이 선언(‘21.10월 현재)
국제사회의 책임있는 일원으로서, 우리 경제의 지속성장과 국가경쟁력 제고를 위해 속도감 있게 온실가스 감축과 탄소중립 실현 추진
누적배출량(1951∼2018년) 기준 우리나라 비중 1%, 세계 13번째에 해당
2050 탄소중립 추진전략
국가비전
2050년까지 탄소중립을 목표로 하여 탄소중립 사회로
이행하고, 환경과 경제의 조화로운 발전을 도모
전략목표
“탄소중립ㆍ녹색성장, 글로벌 중추국가로의 도약”
4대전략ㆍ
12대 중점 과제
- 01
온실가스 감축책임감 있는 탄소중립
- 1무탄소 전원 활용
- 2저탄소 산업구조 및 순환경제 전환
- 3탄소중립 사회로의 전환
- 02
민간혁신적인 탄소중립ㆍ녹색성장
- 4탄소중립ㆍ녹색성장 가속화
- 5세계시장 선도 및 新시장 진출
- 6재정·금용 프로그램 구축·운영 및 투자 확대
- 03
공감과 협력함께하는 탄소중립
- 7에너지 소비절감과 탄소중립 국민실천
- 8지방 중심 탄소중립·녹색성장
- 9산업·일자리 전환 지원
- 04
기후위기 적응과 국제사회능동적인 탄소중립
- 10기후위기 적응 기반 구축
- 11국제사회 탄소중립 이행 선도
- 12상시 이행관리 및 환류체계 구축
부문 및 연도별 온실가스 감축목표
부문별 온실가스 감축목표
단위 : 백만톤 CO2eq
구분부문기준연도
('18)기존NDC('21.10)
('18년 대비 감축률)수정 NDC('23.3)
('18년 대비 감축률)배출량*배출흡수 및 제거
|
727.6 | 436.6(△40.0%) | 436.6(△40.0%) |
전환 | 269.6 | 149.9(△44.4%) | 145.9(△45.9%) |
산업 | 260.5 | 222.6(△14.5%) | 230.7(△11.4%) |
건물 | 52.1 | 35(△32.8%) | 35(△32.8%) |
수송 | 98.1 | 61(△37.8%) | 61(△37.8%) |
농축수산 | 24.7 | 18(△27.1%) | 18(△27.1%) |
폐기물 | 17.1 | 9.1(△46.8%) | 9.1(△46.8%) |
수소 | - | 7.6 | 8.4 |
기타(탈루 등) | 5.6 | 3.9 | 3.9 |
흡수원 | -41.3 | -26.7 | -26.7 |
CCUS | - | -10.3 | -11.2 |
국제감축** | - | -33.5 | -37.5 |
- * 기준연도(’18) 배출량은 총배출량, ‘30년 배출량은 순배출량(총배출량-흡수·제거량)
- ** 국내 추가감축 수단을 발굴하기 위해 최대한 노력하되, 목표 달성을 위해 보충적인 수단으로 국외 감축 활용
연도별 온실가스 감축목표
단위 : 백만톤 CO2eq
부문201820232024202520262027202820292030전환산업건물수송농축수산폐기물수소탈루 등흡수원CCUS합계
|
269.6 | 223.2 | 218.4 | 215.8 | 211.8 | 203.6 | 189.9 | 173.7 | 145.9 |
260.5 | 256.4 | 256.1 | 254.8 | 252.9 | 250.0 | 247.3 | 242.1 | 230.7 |
52.1 | 47.6 | 47.0 | 46.0 | 44.5 | 42.5 | 40.2 | 37.5 | 35.0 |
98.1 | 93.7 | 88.7 | 84.1 | 79.6 | 74.8 | 70.3 | 66.1 | 61.0 |
24.7 | 22.9 | 22.4 | 21.9 | 21.2 | 20.4 | 19.7 | 18.8 | 18.0 |
17.1 | 15.1 | 14.7 | 14.1 | 13.3 | 12.5 | 11.4 | 10.3 | 9.1 |
(-) | 3.4 | 4.1 | 4.8 | 5.5 | 6.2 | 6.9 | 7.6 | 8.4 |
5.6 | 5.1 | 5.0 | 5.0 | 4.9 | 4.8 | 4.5 | 4.2 | 3.9 |
-41.3 | -33.5 | -31.3 | -28.9 | -30.4 | -29.1 | -28.3 | -27.6 | -26.7 |
(-) | - | - | - | -0.4 | -0.7 | -1.3 | -3.2 | -11.2 |
686.3* | 633.9 | 625.1 | 617.6 | 602.9 | 585.0 | 560.6 | 529.5 | 436.6** |
- * 국제사회에 제출된 ‘18년 총 배출량은 727.6백만톤이나 순배출량 기준으로는 686.3백만톤이며, 모든 연도별 합계는 순배출량 기준(부문별 소수점 첫째자리 아래 절삭)
- ** 국내감축은 관련 국제기준 확정, 최초 활용시기(’26년 예상) 등을 고려하여 연도별 목표를 설정할 예정으로 ‘30년 목표에만 반영
탄소중립은 대기 중 온실가스 농도가 인간 활동에 의해 더 증가되지 않도록 순배출량이 0이 되도록 하는 것으로 '넷제로(Net-Zero)'라고도 부른다. 특정 기간에 인간 활동에 의한 온실가스 배출량이 전 지구적 흡수량과 균형을 이룰때 탄소중립이 달성된다
기후위기 대응 동참
이상기후 발생, 파리협정 채택(’15.12), 주요국 탄소중립·NDC 상향 발표* 등으로 국제사회 노력 동참 필요
(독일) ’90년 比 55%→65%(’21.5)
(미국) ’05년 比 ’25년까지 26~28%→’30년까지 50~52%
(영국) ’90년 比 ’35년까지 78%(기존 ’30년까지 68% 목표 병행)
(일본) ’13년 比 26%→46%
국제 경제질서·무역환경 급변
EU·미국 탄소국경조정제도 도입계획 발표, 글로벌 기업의 RE100 선언, ESG 투자 확산 등에 선제적 대응 필요
애플, BMW, 구글, 월마트 등 330여 글로벌 기업들이 선언(‘21.10월 현재)
국제사회의 책임있는 일원으로서, 우리 경제의 지속성장과 국가경쟁력 제고를 위해 속도감 있게 온실가스 감축과 탄소중립 실현 추진
누적배출량(1951∼2018년) 기준 우리나라 비중 1%, 세계 13번째에 해당
2050 탄소중립 추진전략
국가비전
2050년까지 탄소중립을 목표로 하여 탄소중립 사회로
이행하고, 환경과 경제의 조화로운 발전을 도모
전략목표
“탄소중립ㆍ녹색성장, 글로벌 중추국가로의 도약”
3대 정책방향
과학과 합리에 바탕을 둔
의사결정과 정책 추진
법과 절차의 준수, 초당적
협력과 사회적 합의 중시
탄소중립ㆍ녹색성장
혁신에 기반한 온실가스
감축 및 경제ㆍ사회 구조 전환
4대전략ㆍ
12대 중점 과제
부문 및 연도별 온실가스 감축목표
부문별 온실가스 감축목표
단위 : 백만톤 CO2eq
('18)기존NDC('21.10)
('18년 대비 감축률)수정 NDC('23.3)
('18년 대비 감축률)배출량*배출흡수 및 제거
연도별 온실가스 감축목표
단위 : 백만톤 CO2eq